2014년 신세계백화점 본점은 큰 도전을 했다. 하루 평균 2500명이 드나들고 월매출이 1억5000만원인 지하 1층 식품관 스타벅스 매장을 국내 전통식품 떡을 파는 가게(신세계 떡방)로 바꾼 것이다. 당시 식품관 상징으로 자리 잡은 스타벅스 매장 철수에 대해 반대가 많았지만 정유경 신세계백화점 총괄사장이 밀어붙였다. 그 결실이 서서히 나타나고 있다. 지난해 신세계 떡방 월별 매출은 과거 스타벅스 매장 수준인 1억5000만원 선으로 올라섰다.

백화점들이 전통식품 사랑에 빠졌다. 출발은 '상생 차원'이었다. 장인의 손맛이 깃든 전통식품들이 해외 브랜드에 밀려 설 자리가 좁아지자 백화점들이 국내 전통식품 업체들에 판로를 개척해준다는 취지였다.

런데 바른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K푸드 위상이 올라가면서 전통식품 매장이 백화점 효자 노릇을 하고 있다. 기존 식품들 매출이 내리막길을 걷거나 정체 상태에 빠진 상황에서 전통식품이 백화점의 새로운 수익원으로 부상한 것이다. 게다가 다른 백화점과 차별화 역할도 톡톡히 하고 있다. 백화점들이 앞다퉈 전통식품 분야를 강화하는 이유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백화점은 최근 국내 첫 프리미엄 전통발효식품 브랜드인 '종가장촌'을 론칭했다. '종가장촌'은 된장·고추장·간장 등 선조들의 발효 방식을 활용해 담근 전국 팔도 대표 전통장 13종을 현대백화점이 브랜드화한 것이다. 5년 전 도입한 고급 전통식품 브랜드 '명인명촌'에 이어 전통식품 프로젝트 2탄인 셈이다.
현대백화점 8개 점포에 입점해 있는 '명인명촌' 2010년 매출은 4억원에 불과했지만 지난해 90억원 수준으로 급성장했다. 

대백화점 관계자는 "프리미엄 전통식품을 통해 다른 유통업체와 차별화를 시도할 수 있고 보다 다양한 고객 유입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며 "특히 가치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떠오르면서 '건강' '안전' '스토리'를 담은 전통식품을 찾는 고객이 크게 늘어났다"고 말했다.

원본보기


신세계백화점도 전통주·전통장·떡이라는 3대 테마를 통해 전통식품 경쟁력 강화에 공을 들이고 있다. 과거에 전통술은 백화점 주류 코너 구색 상품이었다. 그런데 신세계는 2014년 한국전통주진흥협회와 협약을 맺고 신세계 디자인팀에서 술병을 직접 디자인한 후 '우리술방' 매장을 통해 직접 판매하면서 매출이 6년 만에 4배 가까이 늘었다. 

전국 명인들의 장을 선별해 판매하는 전통장 전용 편집매장인 'SSG장방'도 지난해 전년 대비 2배 넘는 매출 신장을 기록했다. 
신세계 관계자는 "기성세대 고객에게는 향수를, 젊은 세대에게는 호기심을 자극하면서 전통식품 매출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며 "전통식품 관련 매장을 더 늘릴 계획"이라고 말했다.

롯데백화점도 토종 프리미엄 먹거리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한다는 판단 아래 지난해 11월 본점에 '태바시' 매장을 오픈했다. 태바시는 '태양, 바람, 시간' 이 세 가지만 담는다는 의미로 전통 발효 방식으로 만든 전통식품 브랜드 매장이다. 종지에 덜어 먹는 장류, 국물 맛을 내는 천연 조미료, 음식에 사용되는 참기름 등 전국의 우수한 상품들을 모아 판매한다. 

롯데백화점은 '태바시' 외에도 한식대첩으로 유명한 옥수동 선생 심영순의 담미, 장석준 명장의 명란젓 등 기존 백화점에서 볼 수 없던 전통식품 브랜드를 백화점 식품관에 꾸준히 유치하고 있다.

특히 이 같은 전통식품 매장은 급증하고 있는 외국인 관광객 모집에도 자기 몫을 해내고 있다. 


출처 및 저작권: 매일경제 손일선 기자

http://m.news.naver.com/newspaper/read.nhn?date=20160126&aid=0003670688&oid=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