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M의 정의를 내린다는 것 자체가 우습다. 이뿐이랴, 어떠한 현상의 정의를 객관화 하는 것은 더 우습다.

다만 개인의 신념과, 사고와 그 어떤 잣대에 따라 이를 이름화, 현상화 할 뿐이다.


이 책을 읽으며, 어떤 것을 정의할 때 나의 아이덴티티가 정확히 반영되어야 함을 알았다.

그리고 이런 정의는 누구나 다를 수 있고, 이를 무참히 묵살하거나 무시해서는 안됨을 깨닫는다.


-


세상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언어에서는 그 종류를 막론하고 눈과 관련된 어휘가 가장 많다고 한다.

우리말뿐 아니라 영어만 해도 그렇다.

see, watch, view, look, read, witness, observe, visualize, state, gaze, glimpse, glance 등 

이루 헤아릴 수 없다.


눈으로 본다는 것은 결국 그것을 이해한다는 것이며(I See), 

바라본다는 것(View)은 우리의 관점(Point of View)이 된다. 

만일 눈으로 보이지 않는 미래를 바라볼 수 있다면 그것은 원대한 꿈과 상상력(Vision)이 되며, 

이는 곧 사물의 본질을 안(In)으로 꿰뚫어 볼(Sight) 수 있는 통찰력(Insight)이 된다. 

그리고 이 모든 과정을 통해 모두가 보는 것을 보고 아무도 생각하지 못한 것을 생각해내는 발견이 이루어진다. 

떨어지는 사과를 보고 만유인력을 발견한 뉴턴처럼 말이다. 


결국 발견이라는 것, 그리고 본질을 꿰뚫어 버린다는 것은 '바라본다.', '관찰한다.'라는 아주 기본적인 방법에서 시작한다.

그리고 바라보고 관찰하는 과정이 지속 될 때, 이는 진화(Evolution)이 되며, 진화의 기간이 쌓여 혁명(Revolution)이 된다. 위의 과정이 주는 것은 단 하나이다. 기본을 지키고, 기본을 고민하는 것이 혁명의 시작이라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