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나는 대학을 그만둔다. 아니 거부한다!


G세대로 '빛나거라' 88만원 세대로 '빚내거라', 그 양극화의 틈새에서 불안한 줄타기를 하는 20대.

그저 무언가 잘못된 것 같지만 어쩔 수 없다는 불안과 좌절감에 앞만 보고 달려야 하는 20대

그 20대의 한 가운데에서 다른 길은 이것밖에 없다는 마지막 남은 믿음으로.


우리들의 다른 길은 이 것밖에 없다는 마지막 믿음으로 이제 나의 이야기를 시작하겠다.

나는 25년 간 긴 트랙을 질주해왔다. 친구들을 넘어뜨린 것을 기뻣하면서 나를 앞질러가는 친구들에 불안해하면서

그렇게 명문대 입학 이라는 첫 관문을 통과했다. 그런데 이상하다. 

더 거세게 채찍질해봐도 다리 힘이 빠지고 심장이 뛰지 않는다.

지금 나는 멈춰서서 이 트랙을 바라보고 있다. 

저 끝에는 무엇이 있을까? 취업이라는 두번째 관문을 통과시켜 줄 자격증 꾸러미가 보인다.

다시 새로운 자격증을 향한 경쟁이 시작될 것이다.

이제야 나는 알아차렸다. 내가 달리고 있는 곳이 끝이 없는 트랙임을



이제 나의 적들의 이야기를 시작하겠다.

이렇게 이름만 남은 자격증 장사 브로커가 된 대학. 그것이 이 시대 대학의 진실이다.

국가와 대학은 자본과 대기업의 인간제품을 조달하는 하청업체가 되었다. 기업은 더 비싼 가격표를 가진 자만이 

접근할 수 있도록 온갖 새로운 자격증을 요구한다. 10년을 채써먹을 수 없어 낡아 버려지는우리들은 또 대학원에 

유학에 돌입한다. '세계를 무대로 너의 능력만큼 자유하리라'는 넘치는 자유의 시대는 곧 자격증의 시대가 되어버렸

다. 졸업장도 없는 인생이 자격증도 없는 인생이 무엇을 할 수 있는가? 

큰 대움 없는 大學없는 대학에서 우리 20대는 적자세대가 되어 부모앞에 죄송하다.

젊은 놈이 제 손으로 자기 밥을 벌지 못해 무력하다 스무살이 되어서도 꿈을 찾는게 꿈이어서 억울하다. 

언제 까지 쫓아가야 하는지 불안하기만 하다



나는 대학과 기업과 국가, 그리고 대학에서 답을 찾으라는 그들의 큰 탓을 묻는다. 깊은 분노로.

그러나 동시에 그들의 유지자가 되었던 내 작은 탓을 묻는다. 깊은 슬픔으로.

'공부만 잘하면' 모든 것을 용서받고 경쟁에서 이기는 능력만을 키우며 나를 값비싼 상품으로 가공해온 내가, 

이 체제를 떠받치고 있었음을 고백할 수밖에 없다.

이 시대에 가장 위악한 것 중에 하나가 졸업장 인생이나, 나 자신임을 고백할 수 밖에 없다.


그리하여 오늘 나는 대학을 그만둔다. 아니, 거부한다!

더 많이 쌓기만 하다가 내 삶이 한번 다 꽃피지도 못하고 시들어 버리기 전에.

쓸모 있는 상품으로 '간택'되지 않고 쓸모 없는 인간의 길을 '선택'하기 위해.

이제 나에게는 이것들을 가질 자유보다는 이것들로부터의 자유가 더 필요하다.

자유의 대가로 나는 길을 잃을 것이고 도전에 부딪힐 것이고 상처 받을 것이다.

그러나 그것만이 삶이기에 삶의 목적인 삶 그 자체를 지금 바로살기 위해 나는 탈주하고 저항하련다.

생각한 대로 말하고, 말한 대로 행동하고, 행동한 대로 살아내겠다는 용기를 내련다.


이제 대학과 자본의 이 거재한 탑에서 내 몫의 돌멩이 하나가 빠진다. 탑은 끄떡 없을 것이다. 

그러나 작지만 균열은 시작되었다.

동시에 대학을 버리고 진정한 大學生의 첫 발을 내딛는 한 인간이 태어난다.

이제 내가 거부한 것들과의 다음 싸움을 앞에 두고 나는 말한다. 그래, '누가 더 강한지는 두고 볼 일이다'

2010년 3월 10일 김예슬






고등학교까지 우리는 객관식의 삶을 살아왔다. 

어느 고등학교 갈래? 문과갈래 이과갈래? 어느대학교 갈래? 무슨과 갈래?


그리고 드디어 어느정도 주관식의 삶이 인정이 되는 20대가 되었다. 허나 이상하다. 

또 삶의 교과서가 개정되었다. 이제는 새로운 문제다 어느 기업갈래? 삼성 갈래 LG갈래?

그렇다. 이제야 나는 깨닫는다. 우리 삶음 영원히 주관식이 될 수 없다.


언제부터인가 우리의 삶은 객관식이 되어버렸다. 어머니가 내준 객관식이라 생각하지 않는다. 

이 사회가 내어놓은 객관식문제를 우리는 죽을 때 까지 풀고 있다. 


그리고 이 문제를 푸는 과정에서 우리의 대학은 한 몫한다.

언제부터인가 대학은 고등학교의 연장선이 되어버렸다. 모든 과목이 암기이다.

경영 무역 경제 통계 사회학 보건복지학 행정학 등 모든 학문은 암기이다.

어느세부터인가 대학에서 토론문화와 토의문화는 사라졌다. 

언제부터인가 모든 문제에 정답은 단 한 가지이다.

언제부터인가 A의 답이 옳으면, 왜 B의 답안이 틀렸는지를 말해주지 않는다.


그렇다. 우리는 언제부터인가 정답 한 가지를 정해놓고 그것만을 위해 달렸다.

그것이 진짜 정답인지 아닌지도 모르고.


그렇다. 우리는 언제부터인가 대학을 두고, 기업을 두고 그것만을 위해 달렸다.

그것이 진짜 꿈인지 아닌지도 모르고.


그렇다 꿈은 이제 없다.

사라져 가고 있다. 곧 멸종 될 것이다. 




그렇기에 내가 중요하다. 또한 우리가 중요하다.

객관식이 되어버린 제도를 주관식으로 바꾸기는 키가 나와 우리에게 달려있기 때문이다.

남들이 정해 놓은 객관식의 삶에서 벗어나자. 설령, 불이익을 보더라도.


그 삶의 첫번째를 나는 '왜?'로 찾을 것이다.

대학 수업을 들을 때 당연한 것에 '왜?'의 의문을 던질 것이다.

이 문제의 답은 A입니다. 라고 교수가 말한다면, 왜 B가 아닌지 물을 것이다. 

교수의 입에서 'A가 답이니까 B가 아니지' 라는 답변이 사라질 때까지.



김예슬 학생의 말처럼 이런 작은 시작은 결코 탑을 무너트릴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균열은 시작 될 것이다.

그리고 모든 학생들이 '왜?'를 외치는 그날. 대학은 암기를 위한 대학이 아닌, 사고를 위한 대학, 

생각을 위한 대학 우리 한국 사람들이 모두다 꿈으로 간직해온 이상으로 간직해 온 부러워하던 

하버드 대학교 마이크 센델과 몇 천명의 학생이 한가지 주제를 놓고 토의하며 반문하고 질문하는 형식의 대학으로 

바뀔 것이라고 생각한다.



모든 것의 시작은 위대하다.

그리고 그 위대함의 시작은 나의 용기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