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다음카카오·中 알리바바·日 소프트뱅크·美 우버 등 세계 IT기업들 택시 戰爭
승객이 원하는 곳 가는 택시, 택배·배달·대리운전과 비슷… 각 업체들 서비스 확장 추세

한국 다음카카오, 중국 알리바바·텐센트, 일본 소프트뱅크, 미국 우버….

각국을 대표하는 IT(정보기술) 기업들이 '택시 잡기' 전쟁에 돌입했다. 미국은 물론이고 중국·한국·동남아·인도 등 세계 각지에서 IT에 기반한 택시 서비스가 생겨나고 있다. 택시 사업이 얼마나 유망하기에 이렇게 몰려드는 것일까.

택시, IT와 만나다

세계적으로 택시 시장은 개인 사업자들이 이끄는 자영업이다. 개인이나 회사가 보유한 택시를 몰고 주행하다가 손님을 태워서 목적지까지 데려다주고 돈을 받는 것이 기본적인 영업 형태다.

세계 IT업계 주요 택시 서비스

하지만 IT 업체들이 택시 시장에 진출하면서 이런 모습은 완전히 바뀌고 있다. 이들은 무더운 길거리에 나와서 도로를 쌩쌩 달리는 택시를 잡으려고 애쓸 필요가 없다고 강조한다. 사무실·집에서 스마트폰 앱(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해 택시를 부르고, 언제쯤 도착할지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나서야 밖으로 나서면 된다는 것이다.

택시 시장의 변화를 이끈 업체는 우버다. 2009년 창업한 우버는 북미 시장을 시작으로 앱 택시 열풍을 불러일으켰다. 특히 우버는 일반 택시뿐만 아니라 개인 자동차를 이용해서도 손님을 태울 수 있도록 했다. 현재 세계 58개국, 300여개 도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우버에 등록한 운전기사만 100만명이 넘는다. 한국을 비롯한 일부 국가에서는 불법 운행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한국 시장은 다음카카오의 카카오택시가 장악하고 있다. 지난 3월 31일 처음 서비스를 시작한 카카오택시는 출시 4개월 만에 누적 호출(콜) 1000만건을 달성할 정도로 성장 속도가 빠르다. 우버와 비슷하지만 정식 면허가 있는 택시만 손님과 연결해준다는 점이 다르다. 카카오택시에 등록한 기사는 14만명이 넘고, 현재 하루 평균 콜 수는 24만건에 달한다. 다음카카오는 올 10월부터 서울에서 벤츠·BMW 등으로 서비스하는 고급 택시 시장에도 뛰어든다. 이를 위해 12일 서울특별시택시운송사업조합, 고급 택시 운영사 하이엔과 업무협약을 맺었다.

성장 시장인 중국, 인도, 동남아에서도 택시 경쟁은 치열하다. 중국 시장은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함께 운영하는 디디콰이디가 99.8%의 시장점유율을 기록하며 사실상 독점하고 있다. 양사가 각각 운영하던 서비스를 올 2월 전격 합병하면서 생긴 결과다.

'투자의 귀재'로 잘 알려진 손정의 회장이 이끄는 일본 소프트뱅크는 직접 서비스를 하기보다 유력한 현지 업체에 투자하는 전략을 쓰고 있다. 소프트뱅크는 인도 최대의 콜택시 업체 오라캡스에 2억1000만달러를, 싱가포르의 그랩택시에는 2억5000만달러를 각각 투자했다.

승객 운송에서 택배·물류 등으로 확장

IT 업체들이 택시 시장에 뛰어든 것은 이 사업이 운송과 물류 서비스의 기본이기 때문이다. 정해진 노선을 달리는 버스와 달리 택시는 승객이 원하는 방향과 목적지에 따라 달린다. 고객이 주문한 목적지에 배달해주는 택배·음식 배달·대리운전 서비스와 본질은 같은 셈이다.

각 업체들은 택시 서비스를 기반으로 서비스 확장을 꾀하고 있다. 다음카카오는 올 5월 내비게이션(길 안내) 서비스 '김기사'를 만든 록앤올을 626억원에 인수했다. 카카오택시에 '김기사' 서비스를 탑재한 데 이어 이를 활용한 대리운전 서비스도 준비 중이다. 중국의 디디콰이디는 선전(深�), 베이징(北京)에서 노선 버스 사업에 뛰어들었다. 일반 버스가 잘 다니지 않는 노선에 버스를 배차해 승객들을 태워 나르는 사업이다.

우버는 '5분 배달'을 목표로 한 각종 서비스를 시험 중이다. 미국에서는 5분 내에 식사를 배달해주는 '우버 프레시', 자전거를 이용한 택배 서비스 '우버 러시', 아이스크림을 배달하는 '우버 아이스크림' 등을 시험하고 있다. 우버의 창업자인 트래비스 칼라닉 최고경영자(CEO)는 "사람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를 옮기는 실험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양대 한상린 교수(경영학)는 "IT 업체들이 가진 서비스와 네트워크 역량을 택시, 택배, 물류 등 전통 산업에 접목시킬 경우 훨씬 큰 시너지를 낼 수 있다"며 "다만 제도적인 문제, 불법 논란 등이 계속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기존 업체와의 제휴 등을 통해 갈등을 줄여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8/12/2015081204060.html




물류관련 잡지에서 최근 O2O서비스 등을 가르키며 아직은 물류보다는 운송의 개념이라고 표현한 말이 기억난다. 나 역시 이에 동감한다.

물류라는 것이 무엇을 옮기는 것의 개념에서 산업 전체를 총괄하는 SCM이라는 커다란 관점으로 발전되고 있다. 그런 점에서 살펴보면 아직 위의 열거 된 서비스가 물류업계가 최종목적인지는 알 수 없다.


특별히 카카오역시 물류보다는 고객 정보를 바탕으로하는 코어데이터의 싸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된다.

아직은 물류의 개념보다는 이동의 개념으로 위의 현상을 바라봐야할 것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주목해야할 점은 전통산업이 점차 침략 받고 있다는 사실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