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FRB)는 17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마치고 기준금리 동결을 발표하면서 중국과 신흥국의 경제 상황을 중요한 결정 배경으로 제시했다. 

하지만 해외의 상황 변화를 차치하더라도, 미국 경제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얼마나 내실있는 회복을 이뤘는지에 대해서도 전문가들의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 부근에 있는 월스트리트의 상징 황소상/블룸버그 제공
 뉴욕증권거래소(NYSE) 부근에 있는 월스트리트의 상징 황소상/블룸버그 제공

연준이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이후 세 차례의 대규모 양적완화(QE)를 통해 총 3조7000억달러(국채 매입 순증액 2조달러, 주택담보부채권 매입 1조7000억달러)의 유동성을 시장에 공급했지만, 증시와 부동산 시장의 몸집만 커졌을 뿐 양질의 일자리 창출로 이어지지 못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연준은 지난 2분기 미국이 보유한 전체 부(wealth)의 규모가 사상 최대인 85조7000억달러를 기록했다고 18일 발표했다.

하지만 늘어난 부의 상당 부분이 부동산에 집중되어 있다는 점은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미국에서 주인이 직접 거주하는(owner-occupied) 부동산의 가치 총합은 2분기에 21조5000억달러로 1분기 대비 4000억달러 증가했다. 금융위기의 여파로 부동산 시장이 저점을 찍었던 2011년 보다는 4조5000억달러가 늘었다. 

반면 미국 가정의 평균 소득은 아직 금융위기 이전 수준에 미치지 못한다. 미국 통계국의 17일 발표 내용을 보면, 지난해 미국 가정의 평균(중간값) 소득은 5만3657달러(약 6280만원)로 평균 가구 소득이 가장 높았던 1999년(5만7843달러)에 한참 미치지 못했다고 CNN머니가 18일 전했다. 

금융위기 직전인 2007년과 비교해 보면, 정규직 여성의 평균 소득은 큰 변화가 없는 반면 남성의 경우는 2.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달 초 발표된 미국의 8월 실업률이 5.1%로 떨어진 것으로 발표되면서 연준의 완전고용(full employment) 기준에 부합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고용의 질’ 개선이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는 것도 연준의 고민을 깊게 만들고 있다. 

이와 관련해 2016년 미국 대선의 민주당 경선에 나선 버니 샌더스 버몬트주 상원의원은 최근 자신의 트위터에 “새로 생겨나는 일자리의 대부분은 금융위기로 사라진 일자리보다 급여가 적다”며 “미국이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어내고 있다고 말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전미시장협의회(US Conference of Mayors)가 최근 발표한 내용을 보면, 금융위기 이후 새로 만들어진 일자리의 평균 급여는 연 4만7170달러(약 5680만원)로 금융위기로 사라진 일자리의 평균 급여(6만1637달러)보다 23% 적었다.

금융위기 이후 구조조정 과정에서 제조업과 건설업의 고임금 포지션이 대거 사라진 반면, 숙박업과 케이터링 등 상대적으로 임금이 낮은 직종의 신규 고용이 두드러졌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연준은 기준금리 변동 등 통화정책을 결정할 때 물가와 고용 안정을 근거로 경기동향을 판단해 왔다. 

연준이 고용의 질적인 부분에 대한 논란보다 더 심각하게 받아들이는 것은 물가 하락에 대한 우려다. 양적완화로 엄청난 규모의 유동성을 시장에 공급하며 증시와 부동산은 살렸지만 임금과 물가는 제자리 걸음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요한 물가지표인 핵심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는 올해 상반기에 1.3%를 유지하다가 지난 7월에는 1.2%로 더 떨어졌다. 최근 발표된 월간 소비자물가지수는 7개월만에 하락했고, 생산자물가지수는 넉달만에 상승을 멈췄다. 

연준의 금리 동결 결정이 글로벌 경제가 허약하다는 뜻으로 해석되면서 지난 18일 미국과 유럽 증시가 동반 하락하고 원자재 가격이 급락했다. 여기에 더해 금리 인상이 아예 내년으로 미뤄질 수 있다는 전망이 확산되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확실성도 커지고 있다. 


출처: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9/21/2015092101329.html





,